[7/24 김종인 교수] 쿠키뉴스(국민일보) 등 7개 매체 - 특발성 안면마비 후유증 개선에 침 치료 효과 밝혀
관리자
15-07-27 13:48
1,687
특발성 안면마비 후유증’ 증상 개선에 ‘침 치료’ 효과

입력:2015.07.23 14:29

‘특발성 안면마비 후유증’ 증상 개선에 ‘침 치료’ 효과 기사의 사진
경희대한방병원 김종인 교수팀, 국제학술지에 발표
 
[쿠키뉴스=송병기 기자] 국내 연구진이 특발성 안면마비 후유증상 개선에 침 치료가 효과적이라는 사실을 입증했다.
 
경희대학교한방병원(원장 최도영) 안면마비센터 김종인 교수(사진) 연구팀은 특발성 안면마비 후유증상을 가진 환자 39명을 무작위로 두 그룹(침치료군/비침치료 대기군)으로 나누어 비교연구를 진행한 결과 이같이 확인됐다고 23일 밝혔다.
 
이번 연구의 프로토콜은 2011년 3월 임상연구분야 국제학술지(Trial)s에 게재됐으며, 연구 성과 또한 해당 학술지(Trials) 2015년 6월호에 게재됐다.  

연구팀은 두 달에 걸쳐 24회의 침 치료를 진행하고 후유증상 발생 정도를 측정했다.

연구 결과 침 치료를 받은 환자 중 88%가 마비 증상이 20%이상 호전됐고, 안면근육 강직 정도도 치료 전보다 약 40% 줄었다. 또한 후유증 환자가 겪게 되는 불안감, 우울감을 포함한 심리적 증상 지표 또한 52점에서 74점(100점 만점)으로 향상됐다. 

연구팀에 따르면 침 치료는 눈꺼풀과 입 주변 근육의 기능 회복에 탁월한 효과를 보여, 치료 후 눈을 깜박이거나 음식을 씹는 동작이 수월해지고, 식사 시 눈물을 흘린다던지 눈을 감을 때 입이 같이 움직이는 공동운동의 증상을 효과적으로 개선시켰다. 

안면마비는 바이러스성 감염, 외상, 뇌종양, 뇌졸중, 다발성 경화증 등에 의해 발병하는데 ‘특발성 안면마비’는 신경 이상의 원인이 될 만한 질환이나 외상이 없이 갑자기 안면마비 증상만 나타나는 질환이다. 

갑작스럽게 한쪽 눈이 감기지 않고 입술이 움직이지 않아 침이 옆으로 흐르고, 맛을 잘 느끼지 못하며, 귀 뒤 통증을 동반한다.  

발병 후 3~5개월 이내에 안면기능을 되찾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이중 약 30%에 달하는 환자들이 여러 가지 후유증에 시달리게 된다. 

발병한 쪽의 근력이 약화되면서 구축이 일어나 얼굴이 삐뚤어지게 되고, 의도치 않게 얼굴을 씰룩거리는 경련, 눈을 깜빡일 때 입이 움직이거나 식사 시 눈이 감기거나 눈물이 흐르는 연합운동, 얼굴 근육이 뻣뻣하게 강직되는 등의 후유장애가 남는다. 이로 인해 사회생활에 많은 불편함을 느끼고, 심할 때는 심리적 불안과 우울증상까지 이르게 된다.  

지금까지 특발성 안면마비 후유증에 효과적인 치료방법은 없었다. 기존에 제시된 치료법으로는 거울을 보고 표정을 짓는 운동법 정도일 뿐이었다. 스테로이드제제, 항바이러스제제 등은 모두 발병 급성기에 사용되는 약물로 6개월이 경과해 만성적으로 후유증상을 호소하는 환자들에게는 사용할 수 없다.

김종인 교수는 “이번 연구 결과는 특발성 안면마비 후유증에 대한 침 치료 효과를 처음 과학적으로 입증한 것이다. 많은 환자들이 후유증을 겪으면서도 별다른 치료법을 찾지 못해 고생하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 한방 침 치료를 통해 더욱 편안한 삶을 살 수 있길 바란다”고 말했다. songbk@kukimedia.co.kr